4
탄생부터 성장,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 변화는?

핵심과학 콘텐츠
생애주기 기준수정과 출생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생식과 유전홍채 인식기술자극과 반응
수정부터 출생, 영유아기, 청소년기, 중년기, 노년기 등 인간의 생애 주기별 신체 내외부의 특징 및 변화를 알아본다. 특히, 유아기, 청소년기, 중년기, 노년기는 체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이미지와 시기별 주요 신체 변화 이미지의 합성 영상을 통해서 체험자 중심으로 일어나는 신체 내외부 변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한다.
자세히 보기
4
탄생부터 성장,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 변화는?
인체 생애주기별 특징
탄생 후 대부분의 동물들은 바로, 혹은 몇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걸을 수 있다. 뿐만 아니라 6개월이 지나면 대부분 새끼를 낳을 수 있는 성체가 된다. 반면 인간은 걷는 데에만 1년이 넘게 걸리고 생식적으로 자식을 낳을 수 있으려면 10년이 훨씬 지나야 한다. 이것은 진화적 입장에서 보면, 인간은 탄생 후 많은 에너지를 근육 발달이나 생식 기능에 쏟아 붓는 것이 아니라 뇌발달에 온전히 쏟기 위함이라는 견해가 있다. 인간의 생애주기는 탄생부터 신생아, 영아기, 유아기, 아동기, 청소년기, 성인기, 중년기, 노년기로 나눌 수 있으며, 주기별 대표적 신체변화는 다음과 같다.
1) 신생아기(출생 ~ 1세) : 키와 체중 증가율이 가장 높은 시기, 신체 성장뿐만 아니라 지능, 정서, 운동발달도 활발히 일어난다. 생존과 직결되는 반사행동(빨기반사, 파악반사, 수영반사 등)기능이 나타난다.
2) 영아기(1 ~ 3세) : 영아기 만큼은 급속한 성장은 아니지만 여전히 높은 성장률을 보인다. 몸체는 길고 하체는 짧으며 다리는 약간 휘어져 구부정하다. 남녀외형 차이는 서로 비슷하게 보인다. 대근육과 미세근육이 발달하고 언어발달이 매우 큰 시기이다.
3) 유아기(3 ~ 5세) : 피하지방이 감소되고 사지가 빠르게 성장하여 균형 있는 외모를 형성한다. 돌출된 복부가 사라지면서 골반이 곧바로 세워지고, 복벽근이 발달하고 엉덩이는 점차 안쪽으로 회전된다. 미세운동근육의 발달로 운동이 세련되어진다.
4) 아동기(6 ~ 12세) : 두드러진 신체변화는 골격성장, 치아발달, 임파조직의 발달이다. 특히 다리가 길어져 신체의 무게 중심이 아래 부분으로 이동한다. 지방의 양과 분포의 변화로 전반적으로 날씬한 체형이 된다. 평균 한 해 4개의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로 교체된다. 임파조직의 발달로 12세 아동의 편도선은 성인의 편도선보다 크며, 그로 인해 면역반응이 활발하고 감염 빈도가 낮다.
5) 청소년기(13 ~ 19세) : 성장 급등과 2차 성징 발현, 급속한 신체변화로 다양한 심리적·사회적 불균형상태, 불안 및 갈등 등을 경험한다.
6) 성인기(20 ~ 49세) : 근력의 절정은 25 ~ 30세이다. 이 때에 세포증식과 조직재생이 잘 되고, 최적의 운동 기능을 갖게 된다. 오감의 기능이 안정적이다.
7) 중년기(50 ~ 64세) : 신체기능이 서서히 감퇴된다. 흰머리, 주름, 시각·청각능력 감소, 체형의 변화로 갱년기를 경험한다.
8) 노년기(65세 이상) : 피부, 심혈관계, 근골격계 등 모든 신체영역에서 노화가 진행된다. 특히 피부, 모발, 치아의 변화가 크다.